1. 다음의 JOIN의 종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? 1) EQUI JOIN은 반드시 PK, FK 관계에 의해서만 성립된다. 2) NON-EQUI JOIN은 등가 조건의 성립되지 않은 테이블에 JOIN을 걸어주는 방법이다. 3) OUTER JOIN은 JOIN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데이터도 볼 수 있는 JOIN방법이다. 4) SELF JOIN은 하나의 테이블을 논리적으로 분리시켜 EQUI JOIN을 이용하는 방법이다. 정답: 1)번 해설: EQUI JOIN은 반드시 PK, FK 관계에 의해서만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. 조인 컬럼이 1:1로 맵핑이 가능하면 사용할 수 있다. EQUI JOIN : EQUAL JOIN(동등 조인) 만 가능한 INNER JOIN 3. 다음 SET 연산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인가? 1) UNION 연산자는 조회 결과에 대한 합집합을 나타내며 자동으로 정렬을 해준다. 2) UNION ALL 연산자는 조회 결과를 정렬하고 중복되는 데이터를 한 번만 표현한다. 3) INTERSECT 연산자는 조회 결과에 대한 교집합을 의미한다. 4) EXCEPT 연산자는 조회 결과에 대한 차집합을 의미한다. 정답: 2)번 해설: UNION ALL 연산자는 조회 결과에 대해 별도의 정렬 작업을 하지 않는다. 또한 중복 데이터에 대해서도 삭제하지 않고 여러 번 중복 표현한다. UNION 정렬은 SELECT 되어져 나오는 첫번째 컬럼값을 기준으로 자동으로 오름차순 되어서 나온다. 출처: https://h1z1.tistory.com/36 6. 다음 서브쿼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. 1) 다중행 연산자는 IN, ANY, ALL 이 있으며, 서브쿼리의 결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RETURN되는 서브쿼리이다. 2) TOP-N 서브쿼리는 INLINE VIEW의 정렬된 데이터를 ROWNUM 을 이용해 결과 행수를 제한하거나, TOP ( N) 조건을 사용하 는 서브쿼리이다. 3) INLINE VIEW는 FROM 절에 사용되는 서브쿼리로서 실질적인 OBJECT는 아니지만 SQL 문장에서 마치 VIEW나 테이블처럼 사 용되는 서브쿼리이다. 4) 상호연관 서브쿼리는 처리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. 정답: 4)번 해설: 상호 연관 서브쿼리는 서브쿼리가 메인쿼리의 행 수 만큼 실행되는 쿼리로서, 실행 속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SQL 문장이다. 그러나, 복잡한 일반 배치 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다면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. 9. 다음 중 맞는 내용은 무엇인가? 1) 유저를 생성하면 생성한 유저로 바로 로그인 할 수 있다. 2) 새롭게 생성된 유저라면 조건 없이 새로운 유저를 만들 수 있다. 3) 유저 생성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권한 설정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만 가능하다. 4) 다른 유저의 테이블은 그 테이블에 대한 권한 없이는 조회힐 수 없다. 정답: 4)번 해설: 테이블에 대한 권한은 각 테이블의 소유자가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유자로부터 권한을 받지 않으면 다른 유저의 테이블에 접근 할 수 없다. [출처] 제 2장 SQL 활용 연습문제|작성자 지그드시 |
'공부,일 >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0527 (0) | 2021.05.27 |
---|---|
MS-SQL 백업, 복원 (0) | 2021.05.27 |
210526 (0) | 2021.05.26 |
DB 생성,table 생성 (0) | 2021.05.26 |
가져온 database 복원하기 (0) | 2021.05.26 |
댓글